NAT Gateway 서비스는 IPv4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하위 프로토콜로는 ICMP, TCP, UDP를 모두 지원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NAT Gateway는 내부적으로 고속 회선 및 장비가 모두 이중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. 고객이 신청한 NAT Gateway 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NAT Gateway 장비를 통해 대표 IP 변동 없이 접속이 자동으로 실시간 우회되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NAT Gateway를 생성하고 필요한 정보를 웹 기반의 콘솔 메뉴를 통해 편리하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설정 내용을 한 눈에 간편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용도에 따라 사설 NAT Gateway와 공인 NAT Gateway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 공인 NAT Gateway는 Public IP와 연계하여 공인 IP를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.
구분 | 과금 단위 | 요금 |
---|---|---|
사용 요금 | 시간 | - |
데이터 처리량 요금 | GB | - |
(VAT 별도)
※ 2023년 6월 1일 이전에 생성한 NAT Gateway는 모두 인터넷 통신만을 위한 공인 NAT Gateway로 동작하며, 공인 IP를 재사용 할 수 없습니다.
※ 데이터 처리량 요금은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합니다.
[서비스 요금 = 월 사용 요금 + 월 데이터 처리량 요금]
사용 요금 = NAT Gateway 1개 당, 시간 요금으로 과금
데이터 처리량 요금 = NAT Gateway 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 처리량
[과금 예제]
11월 28일 22시에 NAT Gateway를 2개 생성한 후, A 서버에서 NAT Gateway를 통해 20GB를 외부 IP x 로 전송하고, B 서버에서 NAT Gateway를 통해 10GB를 외부 IP y로 전송합니다. 이 경우에 대한 NAT Gateway 11월 요금은 -입니다.
단, 서버에서 외부 IP x, y 로 전송한 인터넷으로 나가는 아웃바운드 트래픽은 서버의 네트워크 요금으로 청구됩니다.
사용 요금 : 50시간 * - * 2개 = -
데이터 처리량 요금 : NAT Gateway 에서 30GB 데이터를 처리했으므로, 30GB * - = -